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이야기

벤틀리 뉴 플라잉 스퍼

by 알엔피싱 2004. 2. 1.

벤틀리 뉴 플라잉 스퍼는 기존의 벤틀리 콘티넨탈 쿠페와는 차별화 된 이미지를 가장 강조하고 있다.

벤틀리의 상장인 철망으로 된 라디에이터 그릴과 타원형 헤드램프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지만,

뒷모습은 조금 다른 터치를 보여준다.

이를테면 테일 램프는 켜졌을 때는 타원형이 강조되면서 테일 파이프의 타원과

유사한 느낌을 주면서 스포티한 이미지를 보여주지만,

램프가 꺼진 상태에서는 타원형은 사라지고 사각형의 램프 형태가 도드라지면서

자못 보수적인 이미지도 보여준다.

 

벤틀리 뉴 플라잉 스퍼

 

콘티넨탈 쿠페 기반의 기존 플라잉 스퍼


사실 기존의 모델은 마치 콘티넨탈 GT를 그대로 늘려서 4개의 문을 달아놓은 것 같은

느낌이 있었지만, 새로 등장한 모델은 세단의 보수적인 이미지를 좀 더 강조한 모습이다.

차체 측면의 이미지도 뮬산느 세단과도 비슷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전면부에서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비롯해서 범퍼의 공기흡입구에까지 전반적으로

철망 이미지의 메쉬 그릴이 쓰여서 고전적인 이미지를 풍기고 있다.

게다가 후드의 분할선을 라디에이터 그릴에서 A-필러로 연결되는 능선

아래쪽으로 설정해서 더더욱 클래식한 느낌을 주면서 양쪽의 펜더의 양감을 강조하고 있다.

 

타원과 사각형이 공존하는 신형 테일 램프

 

모던한 이미지의 뒷 모습


그렇게 만들어지다 보니 앞 범퍼와 양쪽의 펜더가 일체로 만들어지는 특이한 구성을 보여준다.

그야말로 대량생산되는 차량들에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설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물론 라디에이터 그릴과 그 아래쪽의 에어댐 부분이 실질적인 앞 범퍼가 되겠지만,

첫눈에 볼 때는 앞 펜더와 앞 범퍼의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진 것인지 궁금하게 만들기도 했다.

 

메쉬가 사용된 그릴과 범퍼


사실 오늘날의 대량생산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승용차들은 고급 승용차이건 소형 승용차이건 간에

대량생산방식만이 가질 수 밖에 없는 원가(原價)와 제작 방법에 의한

구조와 형태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벤틀리와 같이 완전히 주문생산 방식에 의해 공예적인 생산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최고급 승용차들은 그러한 생산방식의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수작업으로 제작됐음을 나타내는 명패

 

질감을 중시한 실내


새로 등장한 뉴 플라잉 스퍼는 21세기에 와서 다시 주목받는 울트라 럭셔리로써의

공예적 생산방식의 오히려 자유로운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스턴 마틴  (0) 2004.02.01
벤츠 C 클래스  (0) 2004.02.01
혼다 레전드  (0) 2004.02.01
롤스로이드  (0) 2004.02.01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0) 2004.02.01